OS가 설치되었지만, 인터넷이 없다면, 아무것도 못합니다.
사건의 계기
개인 노트북에 ubuntu서버를 live-server 버전으로 설치하였다.
하지만, 부팅 USB를 구성하고, 기존 Windows10 OS를 밀어버리고, 우분투를 설치하였더니,
인터넷이 되지 않았었다.
GUI버전을 설치했다고 생각했었는데,
CLI 환경이었더니, 당황스러웠다…
근데, GUI도 없었기 때문에, CLI 환경에서 wifi를 연결해야 했었다.
yaml 파일 생성하기
/etc/netplan 경로에 yaml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와이파이 설정을 구성할 수 있다.
/etc/netplan/50-cloud-init.yaml
50-cloud-init.yaml 파일을 신규로 생성해준다.
vi 50-cloud-init.yaml
Bash
복사
•
50-cloud-init.yaml
network:
version: 2
renderer: networkd
wifis:
wlp2s0:
dhcp4: true
access-points:
"와이파이 SSID":
password: "와이파이 암호"
YAML
복사
•
wifis 하단에 연결시킬 와이파이모듈의 장비명을 입력해야 한다.
•
본인의 장비는 wlp2s0 에 해당된다.
•
ifconfig로 확인 할 수도 있지만, 본인은 net-tools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os를 설치하였다.
ip addr
Bash
복사
•
해당 명령어를 통해 와이파이 모듈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
lo 라고 써져있는 부분은, 모두가 가지고 있는 루프백(localhost, 127.0.0.1) 인터페이스다.
•
en~ 로 시작되는 부분은 LAN포트를 사용하는 etherne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다.
•
wl~ 로 시작되는 부분은 wifi모듈에 대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
3: wlp2s0: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noqueue state UP group default
◦
본인은 위와 같이 나왔으며, 이를 사용하여 상단의 yaml파일에 wlp2s0 를 기입한 것이다.
적용
sudo netplan generate
sudo netplan apply
Bash
복사
•
해당 명령어를 통해 netplan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
시간이 좀 지나면, 정상적으로 테스트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바로 적용이 될 수 있지만, 본인은 10초 정도 이후에 적용되었었다.
테스트
ping 8.8.8.8
Bash
복사
•
구글 DNS에 ping 요청을 보내는 방식이 가장 편한 방식이다.
•
PING 8.8.8.8 (8.8.8.8)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8.8.8.8: icmp_seq=1 ttl=115 time=32.1 ms
64 bytes from 8.8.8.8: icmp_seq=2 ttl=115 time=32.8 ms
64 bytes from 8.8.8.8: icmp_seq=3 ttl=115 time=37.8 ms
•
이런 형태로 응답이 오면, 성공적인 연결이라고 볼 수 있다.
주의사항
•
권한은 root만 오픈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일반 유저들에게 아무런 권한도 오픈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일반 유저도 접근가능한 권한이 오픈이 되어있다면,
•
ubuntu에서 너무 많은 권한이 오픈이되었다고, 경고를 날려주기도 한다.